라즈베리 파이를 받으면 아무것도 없다. 설명서도 달랑 1장짜리가 들어 있다. 모든 것은 http://www.raspberrypi.org 공식 싸이트를 참조 하면 된다.
준비물
- SDCard. 8G micro SDCard를 젠더를 이용해서 사용
- 전원 공급용 mirco USB (맞나?)
- 키보드. (리얼포스면 더 좋을지도 ㅋㅋ) 첫번째 설치시만 필요하다. 이후엔 ssh 접속해서 사용하던지 해도 됨
- HDMI 케이블
- 마우스. 는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Xwindow 사용시 필요. 애플 프로 마우스 인식안됨!!!
- 랜 케이블. 인터넷 접속에 필요하긴 하나 뭐...
SD Card에 리눅스 설치하기
라즈베리 파이에서는 추천 OS로 Raspbian 이라는 데비안 기반의 커스터마이징 된 리눅스를 추천하고 있다.
http://www.raspberrypi.org/download 공식 싸이트의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서 직접 받을 수도 있고 Torrent를 통해서 받을 수 있다. 직접 받는건 무지 느리니 토렌트를 통해서 받는 것을 추천한다.
※ 윈도우나 리눅스기반에서는 알아서 설치 하면 된다. 아래는 OS X 기반이다.
사실 편리한 윈도우에서 시도하다가 개떡같은 에러가 나서 OS X에서 설치를 했다. OS X짱! 애플 짱!
http://elsmorian.com/post/23366148056/basic-raspberry-pi-setup 2기가 이상되는 SD Card 파티셔닝 하기
1. 받은 파일을 압축을 푼다. unzip ~/Download/2012-08-16-wheezy-raspbian.zip
2. SD Card를 맥에 꼽는다.
3. df -h 명령어로 SD Card의 경로 이름 찾기
Steves-MacBook-Air:Desktop krazyeom$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Capacity iused ifree %iused Mounted on
/dev/disk0s2 233Gi 209Gi 24Gi 90% 54771202 6298238 90% /
devfs 200Ki 200Ki 0Bi 100% 692 0 100% /dev
map -hosts 0Bi 0Bi 0Bi 100% 0 0 100% /net
map auto_home 0Bi 0Bi 0Bi 100% 0 0 100% /home
/dev/disk1s1 56Mi 36Mi 20Mi 64% 512 0 100% /Volumes/Untitled
4. sudo diskutil unmount /dev/disk1s1
5. /dev/disk1s1 -> /dev/rdisk1 disk1를 rdisk1로 바꾸고 뒤에 s1은 뺀다.
6. sudo dd bs=1m if=~/Desktop/2012-08-16-wheezy-raspbian.img of=/dev/rdisk1
1850+0 records in
1850+0 records out
1939865600 bytes transferred in 213.024660 secs (9106296 bytes/sec)
7. sudo diskutil eject /dev/rdisk1
그리고 이것 저것 케이블 연결하고 부팅~ 하면, 전원에 빨간불, OK불에 노란불 등등이 들어 온다.
리눅스 부팅시 처럼 주루루루룩~~ 체크~!
(Xcanvas 디스플레이는 승리의 LG! 사랑해요 LG! ... 삼성도 사랑해요~ ... 이유는 아는 사람만.. )
간단한 설정 창이 나온다. ssh 설정할꺼에요? 라는것도 enable 해주고 종료 하면
덩그러니 터미널이 나오고 startx를 하면~
산딸기 배경의 xwindow
교육용 답게 Scratch가 기본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웹브라우저 midori 가 있다.
(연애할때 마눌님 별명이 미돌양, 난 미돌군이였는데... )
나머지는 그냥 다른 리눅스의 xwindow 랑 비슷하긴 하다..
이제 이놈으로 뭘 할지 다시 생각해보자.
끗
'iDev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 파이 256MB 에서 512MB로 램 업그레이드 (0) | 2012.10.16 |
---|---|
Raspberry pi에 VNC server 설치하기 (0) | 2012.09.08 |
라즈베리 파이에 OS Classic을 올려보자 (0) | 2012.08.22 |
라즈베리 파이에 안드로이드 ICS 올리기 (1) | 2012.08.22 |
라즈베리 파이 직접 구매하기 41,850원! (0) | 2012.08.22 |
라즈베리 파이 OS, OS X에서 설치하기 (2) | 2012.08.22 |
댓글을 달아 주세요
post 제목이 무슨말씀인지 도통 모르겠어요. 오에스 텐에서 파이를 설치한다는건지...
사진에 보기엔 모니터에 연결에서 직접 키보드 조작으로 설치하시는것 같은데...
오에스 텐에서 콘솔연결할 필요가 있나요? 여분의 모니터랑 키보드가 있는데..
아몰랑
네, 제가 봐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내용을 보면 알수 있죠